발간일

~
검색
  • 『군사연구총서』 2집 7세기 후반 삼국의 격변과 신라의 삼국통일
    • 저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 발간일 2025.03.31

    『군사연구총서』 2집은 한국 역대 군사사 분야 미정립 주제발굴의 일환으로 수행된 전문연구자들의 연구용역 결과물을 발간한 저서이다. 7세기 후반 삼국의 격변과 신라의 삼국통일이라는 주제로 신라, 고구려, 백제 삼국의 각축과 신라의 삼국통일 기반 마련 등을 분석한 연구주제 10편을 수록하였다.

  • 고구려-수 전쟁사 : 고대 동아시아 최대의 격전
    • 저자 신범규
    • 발간일 2025.01.31

    『고구려-수 전쟁사 : 고대 동아시아 최대의 격전』은 고구려-수 전쟁을 개전부터 종전까지 살피고, 전쟁의 뒷이야기를 제공하여 전쟁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야기식으로 풀어낸 교양서적이다.

  • 2024년 시민강좌: 고중세 전쟁 따라잡기
    • 저자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 발간일 2024.12.31

    2024년 제2회 군사사 시민강좌를 개최하고 그 강연 내용을 수록한 강연집이다. 강연 주제는 고대 세계전쟁이란, 우리가 모르는 나당전쟁 이야기, 고려는 최강대국 거란을 어떻게 물리쳤나이다.

  • 조선후기 한중군사관계사 [2]
    • 저자 김경록
    • 발간일 2024.12.31

    조선후기 한중군사관계를 전쟁사 중심에서 국제질서, 군사외교, 전쟁, 군사지리, 무기체계, 국방사상, 국경문제 등 군사사 전반에서 분석한 연구성과물이다.

  • 청일전쟁
    • 저자 김윤미
    • 발간일 2024.12.31

    청일전쟁 발발 130년에 발간한 이 책은 조선의 시선으로 전쟁의 배경부터 전쟁 이후의 기록과 현재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다루며 청일전쟁을 재조명한 학술교양서이다.

  • 6·25전쟁기 민사작전
    • 저자 박동찬
    • 발간일 2024.09.30

    이 책은 근대적 '민사' 개념의 등장을 역사적으로 추적하여 그 기원을 밝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 적용된 민사와 군정 사례를 통해 민사군정의 지역별·유형별 특징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1947년에 새롭게 정립된 '민사군정' 개념이 6·25전쟁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와 그동안 알려진 바가 없었던 민사 관련 협정과 명령서를 새로 발굴하여 분석하였으며, 6·25전쟁기 민사작전의 유형별 사례로 피란민 통제와 구호, 점령지역 행정, 민간 의료와 교육지원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도 이 책의 특징 중 하나이다.

  • 중일전쟁 시기 중·소관계와 군사협력
    • 저자 정형아
    • 발간일 2024.08.30

    이 책은 중일전쟁 시기 중국과 소련의 협력관계를 연구한 전문연구서로, 먼저 만주사변을 전후로 단교되었던 중·소 양국이 국교를 회복한 후 상호불가침조약을 맺어 협력자로 나아가는 과정을 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차관제공과 상환, 군수품의 물적 협력, 군사고문과 항공지원대 등의 인적 협력, 그리고 협력의 이면에 존재했던 균열의 상황을 분석하고 중일전쟁 시기 양국 협력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 중세의 전쟁과 사회
    • 저자 남보람
    • 발간일 2024.06.28

    이 책에는 서유럽에 카롤루스 제국이 성립한 8세기부터 프랑스 왕국과 독일 왕국이 고유의 정체성을 깨닫기 시작한 13세기까지 역사적 사건들을 주로 다루고 있다. 본론의 마지막은 기병 중심의 전장에 보병과 용병이 전면 등장하기 시작한 14세기 초의 상황을 설명 하면서 마무리된다. 여기에 등장하는 군주-신하 관계, 기병의 무력, 신종선서, 보병의 창술, 기사 계급과 기사도, 금전 관계와 용병 등의 용어는 중세 역사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높여주고 아울러 오늘날의 민군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켜줄 수 있는 좋은 역사적 사례가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은 민군 관계의 제도적 구성요소와 역사적 근원을 중세적 관점에서 탐구하고 있다. 중세의 제국과 왕국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무력을 운용하고 그 과정에서 군사적 유용성과 사회적 가치를 키워나가는 과정은 오늘날 우리 정부와 군대가 국방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민의 군대로 자리매김하려고 노력하는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세의 전쟁과 사회: 민군 관계와 군사전문직업주의의 기원을 찾아서』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에서 민군 관계에 대해 연구한 성과를 내놓는 첫 번째 책이며 유럽 중세를 역사적으로 탐구한 첫 번째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이 독자 여러분의 민군 관계와 군사전문직업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해 확장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군사교범, 근대군사교육의 시작
    • 저자 정형아, 전호수, 한동훈
    • 발간일 2024.05.31

    이 책은 대한제국, 독립군,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편찬했던 군사교범들의 편찬배경과 내용, 그리고 의미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한 교양총서이다. 이 책을 통해 19세기 후반부터 편찬되었던 군사교육의 단계적 발전상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국가주권이 위협받던 시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과 경험, 그리고 굳은 의지가 근대 군사교범의 편찬이라는 결실을 맺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전쟁사와 국방정책 2024-1) 미국 사료로 본 한미동맹 성립과정
    • 저자 계용호
    • 발간일 2024.04.29

    이 책자는 미국 국무부 사료(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2-1954, Korea, Vol. XV)에 수록된 한미동맹 성립과정 관련 내용 해제를 통해 객관적 시각에서 한미동맹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저술하였다.